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만세 할머니’ 백인명 여사, 고국 위해 웰페어 모든 돈까지 기부

백인명 여사(1898~1987)가 샌프란시스코에 도착한 건 1921년 12월이었다.   본적도 없는 남편의 얼굴 사진 한 장을 손에 꼭 쥐고 있었다. 사진 결혼을 통해 낯선 이국땅을 밟았던 백 여사는 생전 ‘만세 할머니’로 불렸다.   백 여사는 옥고를 치른 직후 미국으로 왔다. 경기도 가평 공립보통학교와 황해도 연안공립학교에서 교사로 재직하던 그는 1919년 3월1일 진명여고 앞에서 독립을 외치다 체포됐다.   본지는 3.1여성동지회가 제공한 백인명 여사의 생전 육성 파일(1976년 2월28일 녹음)을 들어봤다.   2분 남짓한 녹음 파일에는 카랑카랑한 백 여사의 목소리가 생생하게 담겨있다.   “나라가 말살될 것이라는 감정 속에 눈에 보이지도 않고, 손으로 만질 수도 없는 애국심…허리춤에 감춘 독립선언서를 이 상점, 저 상점에 다니며 전했다. 방방곡곡이 독립의 소리로 가득 찼다. 그때 나도 그중 한 사람이었다.”   백 여사는 북가주 맥스웰 지역에 정착했다. 그곳에서 벼농사를 지었다. 이후 윌리엄스 지역에서 세탁소를 운영하다 LA로 왔다. 그때가 1945년이었다.   백 여사는 광복을 LA에서 맞았다. 그때의 감회도 기록으로 남아있다.     “너무 좋아서 택시를 불러 대한인동지회 사무실로 달려갔다. 밤새도록 목이 메어라 만세를 부르며 날을 보냈다.”   백 여사는 이민 초창기 세대다. 쉴 틈 없이 일했다. 슬하에 4남 3녀를 두고 어머니 그리고 아내로서 세월을 흘려 보냈다. LAPD의 한인경찰관 1호(1965년)인 레이 백씨가 백 여사의 아들이다.     백 여사는 푼푼이 모은 돈도 늘 고국을 위해 썼다.   UCLA에는 한국 전통음악과가 있다. 당시 백 여사가 학교 측에 쾌척한 2000달러를 기반으로 1973년에 개설된 학과다. 당시 화폐 가치를 오늘날 기준으로 환산(연방노동부 데이터)해보면 약 1만5000달러에 달한다.   한국 독립기념관 건립 기금모금 때도 웰페어를 조금씩 모아 마련한 1000달러를 선뜻 내놓았다. 샌프란시스코 차이나타운에서 억울하게 살인 누명을 썼던 이철수씨 사건 당시에도 구명 운동에 후원금을 냈다. 한국 정부는 백 여사에게 대통령상(1970년), 외무부장관상(1970년), 문화공보부장관상(1973년) 등을 수여했다.   백 여사는 평소 이승만 박사를 존경했다. 대한인동지회 지방회장 등을 역임했다. 한인 사회내 각종 행사 때마다 ‘대한민국 만세’를 선창했다.   본지 신문에도 백 여사의 기록이 남아있다. 지난 1974년 11월3일, LA지역 맥아더 공원에서는 중앙일보 미주판 발행 및 동양TV개국 기념을 맞아 2만 명의 한인이 모인 가운데 ‘미국에서의 장수무대’가 열렸다. 이때 백 여사가 1등 장수상을 받았다. 76세였다.   그는 유머와 재치도 있었다.   사회자가 “미국서 시어머니 노릇 하기가 어떠냐”고 묻자 “아들은 많은데 모두 미국 며느리라서 시어머니 노릇 하기도 어렵다”고 답해 관중의 웃음을 자아냈다.   백 여사는 지난 1987년 9월 눈을 감았다. 향년 89세였다. 그는 죽을 때까지 고국 땅을 다시 밟지 못했다. 대신 미국땅 곳곳에 그가 심은 대한민국의 흔적은 생생하다.  장열 기자 [email protected]미국 할머니 만세 할머니 대한민국 만세 한국 독립기념관

2023-09-21

국민회관 20년 만에 재단장

미주 한인들의 독립운동사와 이민사를 유일하게 전시해 보여주던 국민회관이 내일(29일)부터 대대적인 리모델링을 시작한다.   지난 2003년 처음으로 복원 공사를 한 후 약 20년 만에 진행하는 재단장 작업이다. 1938년 신축된 국민회관은 이번 재단장 작업을 통해 최첨단 전시시설을 갖출 예정이라 관계자들도 기대를 모으고 있다.     특히 내년이면 북미 대한인국민회 건립 100주년을 맞는 만큼 국민회관이 새로운 모습을 통해 차세대 한인 후손들과 타인종들에게 친근하게 다가가는 기회로 삼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국민회관 관계자들에게 따르면 이번 리모델링은 영어권 2~3세대와 타인종들을 타깃으로 삼아 내부를 업그레이드한다.     그동안 전시실에는 1909년 국민회 창립 당시부터의 인물 및 활동사진 160여 점과 국민회 기관지 역할을 한 신한민보 인쇄기 등 유물 120여 점이 전시돼 있었다. 하지만 지난 20년 동안 전시품이 거의 변하지 않아 교체할 시점이 됐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특히 전시관에 설치된 영상물은 한국어로만 돼 있어 영어를 사용하는 방문자들에게는 미주 한인사와 독립운동사에 대한 의미를 제대로 전달하기가 어려웠다. 이 때문에 국민회관 기념관을 관리하는 대한인국민회 기념재단은 전시관 내부와 전시품을 전반적으로 교체하는 방안을 한국 정부와 함께 논의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대한인국민회 기념재단의 최형호 총무는 "영어권 방문자들을 위해 각종 전시물에 한국어와 영어로 된 설명서 외에도 시청각 효과를 높이기 위해 방문객이 전시물 앞에 서면 자동으로 설명이 나오는 시설 등 최신 전시관으로 탈바꿈하게 될 것"이라며 "낡은 유물이 있는 곳이라는 인식에서 살아있는 교육 현장으로 변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업그레이드 작업은 한국의 독립기념관에서 전폭적인 지원을 한다. 한국 독립기념관은 미주 한인 독립사와 이민사를 보여줄 4개 컨테이너 분량의 전시물을 국민회관으로 이미 보냈다. 내달 초에는 전시 전문가 4명을 파견해 유물 전시 작업을 돕는다.     윤효신 이사장은 "내부 리모델링 공사부터 전시하는 기간까지 약 한 달 정도로 예상한다"며 "계획대로 작업이 진행된다면 오는 11월 20일에 재개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재개관식에는 한국 독립기념관 관장, 보훈처 처장 등이 참여할 예정이다.   윤 이사장은 지난해 취임 당시 "한인 2세들에게는 뿌리 교육의 현장이자 코리안 아메리칸의 정체성과 긍지를 고취하는 역사의 전당으로 만들겠다"고 다짐한 후 이번 리모델링 프로젝트를 적극적으로 진행해 왔다.     '미주 독립운동 1번지'로 꼽히는 대한인국민회는 1922년 1월 북미지방총회를 폐지하고 미국과 멕시코, 쿠바에 있던 지방회들만으로 재편성한 '북미 대한인국민회'로 명명해 활동해왔다. 지난 2003년 12월 대한인국민회 기념관으로 재단장한 후 관리를 위해 기념재단이 설립됐으며 이후 한국 정부(국가보훈처)의 도움으로 역사교육박물관으로 활용돼 왔다. 지난 1991년에는 LA시 사적지(548호)로 지정됐다.   2003년 재단장 공사 중 다락방에서 2만여 점의 유물이 발견되기도 했다. 당시 발견된 유물엔 기미독립선언문 동판을 비롯해 1908년 미주 한인들이 장인환. 전명운 의사의 스티븐슨 저격사건 이후 돈을 모아 변호사 비용을 마련했다는 문서, 1920년대 미주 한인 인구 현황을 수록한 재미교포 인구등록, 독립운동자금 입금 대장 등 미주 한인들의 활동을 알리는 중요한 기록이 대거 포함돼 있었다. 현재 이 유물들은 지난 2019년 한국의 독립기념관에 대여 형태를 빌려 이관된 상태다. 장연화 기자국민회관 최형호 장로 한국 독립기념관

2021-10-27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